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와 은행이 함께 지원하는 대표적인 청년 금융상품이에요.
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개설 절차, 이자 및 정부 지원금 혜택, 소득조건, 실제 사례,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정리했어요.
궁금했던 모든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할 테니, 끝까지 읽으면 내 상황에 맞는 가입 방법과 꿀팁까지 얻어갈 수 있어요.
청년도약계좌란?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 – 34세 청년이 일정 소득 조건을 충족하면, 매월 저축한 금액에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얹어주는 금융상품이에요.
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최대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고, 이자·지원금·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요.
특히 2025년부터 정부 지원금이 더 확대되고, 중도 해지 시 일부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바뀌었어요.
청년도약계좌 개설 절차
청년도약계좌 개설 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해요.
- 먼저, 협약은행(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농협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, IM뱅크 등)의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 앱에서 신청할 수 있어요.
- 신청기간에 맞춰 은행 앱에서 ‘청년도약계좌’를 검색해 가입 신청을 해요.
- 신청서 작성 후, 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에 가입요건(나이, 소득, 가구원 등)을 확인 요청해요.
- 국세청과 건강보험공단 자료로 자동 심사가 진행되고, 필요시 추가 서류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어요.
- 심사 결과는 문자나 알림톡으로 안내돼요.
- 심사 통과 후 안내받은 기간 내에 계좌를 개설하면 첫 납입이 시작돼요.
- 보통 신청 후 1-2주 내에 심사가 끝나고, 계좌 개설까지는 최대 2주 정도 걸려요.
-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계좌 개설 일정이 다르니, 신청 시 꼭 확인해야 해요.
신청 및 개설 일정
2025년 2월 기준으로 1인 가구는 2월 20일 – 3월 14일, 2인 이상 가구는 3월 4일 – 3월 14일에 계좌 개설이 가능했어요.
2025년 3월에는 3월 4일 – 14일에 신청을 받고, 이후 심사를 거쳐 3월 20일 – 28일에 계좌를 개설할 수 있었어요.
신청기간과 개설기간이 다르니, 미리 일정 체크는 필수예요.
이자 혜택과 정부 지원금
청년도약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이자와 정부 지원금이에요.
- 기본금리는 은행마다 다르지만, 2025년 기준 대부분 4.5% 수준이고, 우대금리까지 더하면 최대 6.0%까지 받을 수 있어요.
- 정부 지원금은 소득 구간에 따라 다르게 지급돼요.
- 연 소득 2,400만 원 이하 청년이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, 정부 지원금이 월 3만 3,000원까지 지급돼요.
- 소득이 높을수록 지원금은 줄어들지만, 연 6,000만 원 이하까지도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.
- 정부 지원금은 5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최대 80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어요.
- 비과세 혜택도 커요.
- 납입액과 정부 지원금에 붙는 이자에 대해 소득세가 0원이에요.
- 만기까지 유지하면 이자와 지원금을 온전히 다 가져갈 수 있어요.
- 신용점수 가점도 있어요.
- 2년 이상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, 신용점수가 5~10점 자동으로 올라가요.
소득조건 및 가입자격
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아래와 같아요.
- 나이: 만 19세 – 34세 (군복무자는 복무기간만큼 연령 산정에서 제외, 최대 만 39세까지 가능해요.)
- 개인 소득: 연 7,500만 원 이하 (2025년 기준)
- 가구 소득: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1인 가구 월 598만 원, 4인 가구 월 1,256만 원 이하)
- 소득 기준은 매년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, 신청 전 최신 기준을 꼭 확인해야 해요.
- 소득이 연 6,000만 원을 넘으면 정부 지원금은 못 받아요. 이자와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어요.
실제 사례로 보는 청년도약계좌
실제로 2024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29세 직장인 김청년 씨의 사례를 볼게요.
김청년 씨는 연 소득 2,300만 원, 1인 가구예요.
2024년 3월에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고, 매달 70만 원씩 꼬박꼬박 저축하고 있어요.
정부 지원금이 매달 3만 3,000원씩 들어오고, 이자도 매년 6% 가까이 쌓이고 있어요.
2년이 지난 지금, 신용점수도 8점 올라서 대출받을 때 이득을 봤고, 5년 후에는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받을 계획이에요.
김청년 씨는 “청년도약계좌 덕분에 저축 습관도 생기고, 정부 지원까지 받아서 든든하다”고 말했어요.
주의사항과 꼭 기억해야 할 점
- 신청기간과 계좌 개설 기간이 다르니, 일정 체크는 필수예요.
- 소득 및 가구 정보 제공 동의를 꼭 해야 심사가 진행돼요.
- 중도 해지 시 혜택이 줄어들 수 있어요.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 지원금(60%)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, 그 전에 해지하면 지원금이 환수될 수 있어요.
- 은행별 우대금리 조건이 다르니, 주거래 은행 앱에서 우대조건을 꼭 확인해요.
- 정부 지원금은 소득 구간별로 차등 지급돼요. 내 소득에 맞는 지원금이 얼마인지 미리 계산해보는 게 좋아요.
- 납입액이 줄어들면 만기 수령액도 줄어들어요.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지만, 적게 넣으면 그만큼 목돈도 줄어요.
청년도약계좌 FAQ
Q1. 청년도약계좌는 중도에 해지해도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?
-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 정부 지원금(60%)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 하지만 3년 미만 해지 시 지원금 환수 등 불이익이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.
Q2. 소득이 갑자기 늘어나면 지원금이 줄어드나요?
- 네, 소득이 올라서 기준을 초과하면 그 해부터 정부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중단될 수 있어요. 이자와 비과세 혜택은 계속 받을 수 있어요.
Q3. 청년도약계좌는 여러 은행에서 동시에 개설할 수 있나요?
- 아니요,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해요. 여러 은행에서 중복 가입은 불가능해요.
Q4. 군 복무자는 나이 제한이 어떻게 되나요?
- 군 복무 기간(최대 6년)만큼 나이 산정에서 제외돼요. 예를 들어, 2년 복무했다면 만 36세까지 가입이 가능해요.
Q5. 부모님과 함께 사는 경우 가구 소득은 어떻게 산정되나요?
-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면 부모님의 소득도 합산돼서 가구 소득을 계산해요. 1인 가구로 분리된 경우에는 본인 소득만 적용돼요.
결론
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라면 꼭 한 번쯤 가입을 고민해볼 만한 금융상품이에요.
정부 지원금, 높은 이자, 비과세 혜택, 신용점수 가점 등 다양한 혜택이 한 번에 모여있어요.
신청과 개설 절차도 간편하고, 모바일 앱으로 쉽게 진행할 수 있어요.
신청기간과 소득조건, 우대금리 등 꼼꼼히 체크해서 내 상황에 맞게 준비하면, 5년 후 든든한 목돈과 함께 금융 습관도 챙길 수 있어요.
혹시라도 궁금한 점이 있다면,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나 주거래 은행 앱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아요.
청년의 미래를 위한 똑똑한 선택, 청년도약계좌로 시작해보세요.